ㆍ과 류 : 백합과
ㆍ개화기 : 7~8월
ㆍ초 장 : 50~90cm
ㆍ용 도 : 식용, 관상용, 약용
ㆍ자생지 : 제주를 제외한 전국
ㆍ번 식 : 목자,인편 ; 식재조건 : 양지
ㆍ식재본수 : 30~45본/㎡
ㆍ상태적특성 : 내서성(강) 내한성(강)
내습성(중) 내건성(중)
조경상 특징
잎이 특이하고 꽃이 크고 화려하여 관상가치가 뛰어나다. 화단가나 담장밑에 키가 낮은 식물 즉 좀씀바귀,제비꽃 등과 혼식하여 식재하면 여름철 지하부구근을 시원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관리 요령
낙엽수림 하부의 습윤하고 그늘진 곳, 사질토양에 부엽이 충분히 섞인 물빠짐이 좋은 곳이 적지이다.
식물체 활용
어린순과 땅속의 인경은 먹는다. 꽃봉오리는 햇빛에 말려 나물로 먹거나 창종,부인병에 뿌리를 달여서 쓰면 효과가 있다 고 한다. 민간에서는 비늘줄기(鱗莖)를 강장,자양,건위,유방염,강심,진정,기관지염,신경쇠약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 하여 약으로 쓴다.
ㆍ개화기 : 7~8월
ㆍ초 장 : 50~90cm
ㆍ용 도 : 식용, 관상용, 약용
ㆍ자생지 : 제주를 제외한 전국
ㆍ번 식 : 목자,인편 ; 식재조건 : 양지
ㆍ식재본수 : 30~45본/㎡
ㆍ상태적특성 : 내서성(강) 내한성(강)
내습성(중) 내건성(중)
조경상 특징
잎이 특이하고 꽃이 크고 화려하여 관상가치가 뛰어나다. 화단가나 담장밑에 키가 낮은 식물 즉 좀씀바귀,제비꽃 등과 혼식하여 식재하면 여름철 지하부구근을 시원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관리 요령
낙엽수림 하부의 습윤하고 그늘진 곳, 사질토양에 부엽이 충분히 섞인 물빠짐이 좋은 곳이 적지이다.
식물체 활용
어린순과 땅속의 인경은 먹는다. 꽃봉오리는 햇빛에 말려 나물로 먹거나 창종,부인병에 뿌리를 달여서 쓰면 효과가 있다 고 한다. 민간에서는 비늘줄기(鱗莖)를 강장,자양,건위,유방염,강심,진정,기관지염,신경쇠약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 하여 약으로 쓴다.